한국장학재단 생활비대출 금리, 학기당 한도, 신청방법 등 초간단 정리👀
한국장학재단 생활비 대출은 대학생, 대학생원의 학비, 월세, 책값, 교통비 등의 생활비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대출 상품입니다.
대학생들이 저금리로 대출받아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금융 지원입니다.
제 포스팅에서 관련된 내용을 자세하게 정리 했습니다
아래 내용을 확인해보시면 한국장학재단 생활비 대출을 손쉽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. !
✅ 한국장학재단 생활비 대출이란?
▶한국장학재단 생활비 대출은 대학생의 생활비를 지원하기 위한 대출입니다.
▶소득 제한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, 등록금 대출과는 다르게 생활비에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▶이 대출의 금리는 연 1.7%로 적용되어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여줍니다
예산소진 및 정책 변경으로 인하여 대출상품이 중단될 수 있으니 서둘러서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.
✅ 한국장학재단 신청조건
신청조건
한국장학재단 생활비 대출의 신청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 확인해보세요.
- 대상: 대한민국 국민인 대학생, 대학원생, 전문대의 전문기술석사 과정을 이수 중인 자 (재학생 및 입학, 복학 예정자를 포함)
- 소득제한이 없습니다.
✅ 한국장학재단 상환방식
생활비 대출의 상환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.
일반상환 방식
- 원금균등분할상환 또는 원리금균등분할상환 중 선택 가능합니다.
- 자동계좌이체를 통해 매월 상환할 수 있습니다.
취업 후 상환방식
- 소득 기준: 학부생은 학자금지원 8구간 이하, 대학원생은 학자금지원 4구간 이하
- 연령: 학부생은 만 35세 이하, 대학원생은 만 40세 이하
- 이수 학점: 직전 학기 이수 학점 12학점 이상
- 신용 상태: 제한 없습니다.
자발적 상환과 의무적 상환
- 자발적 상환: 대출 원리금을 자유롭게 상환할 수 있으며, 중도상환 및 자동이체 방식 선택이 가능합니다.
- 의무적 상환: 소득 금액이 상환기준 소득을 초과하거나 상속, 증여재산이 발생한 경우 국세청을 통해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합니다.
✅ 한국장학재단 대출 한도 및 금리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X6uuj/btsHql2A8et/dB8bxPNxsGdgPsz4oWgM4k/img.png)
대출 한도
▶ 대출의 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.
▶ 학기당 150만원으로 동일 학기 내 횟수 제한 없이 분할 실행이 가능합니다.
▶ 등록금을 납부하지 않은 재학생이나 대학 등록 예정자의 경우 한 번에 50만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며 횟수도 한 번으로 제한됩니다. 나머지 잔여 금액은 등록 후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.
- 학기당 최대: 150 만원
- 선택 단위: 5만 원 단위
- 최소 대출액: 10만 원
대출 금리
▶ 한국장학재단 생활비 대출의 금리는 2023년 2학기 기준으로 연 1.7%의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.
▶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자립준비청년, 학자금지원 4구간 이하의 학부생은 의무 상환 개시 전까지 무이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한국장학재단 대출 일정 및 신청방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bhhv/btsHqrO2he3/XvZYkUuNo9KiKQmq50D19k/img.png)
신청 일정
생활비 대출의 신청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등록금, 대출, 생활비 대출, 취업 후 상환 전환대출 등의 신청 기간을 아래에서 확인하세요.
- 2024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 일정
신청 방법
생활비 대출의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공동인증서 발급: 해당 은행에서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습니다. PC나 모바일로 발급 가능합니다.
-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신청: 공동인증서로 접속하여 학자금대출 신청서를 작성합니다.
- 온라인 금융 교육 이수: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금융 교육을 이수합니다.
- 신청 완료: 모든 절차를 완료하면 신청이 완료됩니다.
- 대출 승인: 대출 승인은 보통 1~3영업일 정도 소요됩니다. 대출 승인이 나면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를 위해 부모님께 문자가 발송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45aSW/btsHpmajDfd/Ogw5ma3QKI0UaTyuv3LkTK/img.png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