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오늘은 전세를 월세로 전환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월세 금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종전에 전월세 전환율은 4%였습니다. 하지만 2020년 9월부터는 4%에서 2.5%로 낮아졌습니다. 전세금 1억을 월세로 전환하면 얼마일까요? 자 그러면 전세를 월세로 전환했을 때 산정율이 얼마인지 사례를 통해서 같이 알아보겠습니다.
전세에서 월세전환시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mAt7M/btrelS23mHm/e6qEKNcv6b0WoHWZiITfdK/img.png)
예) 전세 보증금 5억을 보증금 3억에 월세로 전환하기
계산방법은 (5억-3억) x 2.5% /12 = 416,666원입니다.
전세 5억을 보증금 3억에 월세로 전환하게 되면 매달 416,666원의 월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종전 4%였다면 666,666원인데 많이 낮아졌네요.
1억에 월세 얼마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YzMr/btrerAmvC53/OgEiJ2WnKiXTB6PrpBrR1K/img.png)
1억 x 2.5% / 12 = 208,333원입니다.
위 계산을 참고로 1억에 월세 208,333원 받을 수 있습니다. 혹시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실 분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월세에서 전세로 전환시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1VRt/btreqIE8GqV/mvf8G0xap5kFzfn3jYw0Uk/img.png)
예) 보증금 5천만원에 월세 100만원을 전세로 전환가기
계산방법은 (100만원 x 12개월 / 2.5%) + 5천만원 = 5억 3천만원입니다.
혹시 월세를 전세로 전환하실 분은 참고하시면 됩니다.
마치며
임대인의 갱신거절 사유중 하나인(임대인의 직계존손, 직계비속을 포함) 목적주택에 실제 거주할려고하는 경우 거절할 수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임대료 상환율, 전원세 전환율보다 더욱 높은 임대료를 받기 위해 계약갱신이 아니라 재계약을 하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. 임대차 3법이 임차인의 권리를 위하는 것은 맞지만 부작용도 있는 것 같네요. 전월세 상환율에 대해서 궁금하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그리드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