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
반갑습니다. (●'◡'●)
과거의 후회보다는
미래의 불안보다는
지금, 오늘, 현재를
살고자 노력하는
LOVEHAPPY입니다.
오늘은 2021년 연봉 실수령액에
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2021 연봉 실수령액이 2020과
달라지는데요.
그 이유는 매년 4대보험의 요율과
최저임금이 바뀌기 때문에
2021 연봉 실수령액이 달라집니다.
같이 한번 알아 보시죠 ^^
먼저 알아야 할 내용!(4대보험 요율)
우리가 일을 하게 되면
흔히 말하는 4대보험을 내게됩니다.
국민연금, 건강보험(장기요양보험),
고용보험, 산재보험 입니다 .
2021년 연봉 실수령을 알아보기 위해서는
자신의 연봉에서 4대 보험 요율에 따라
공제를 하면됩니다.
2021년 4대 보험 요율
국민연금 : 세전 월급의 4.5%
건강보험 : 세전 월급의 3.43%
장기요양 보험 : 건강 보험의 11.52%
고용보험 : 세전 월급의 0.8%
산재보험 : 사업주가 납부함.
4대 보험이외에 소득세와 지방 소득세가
공제항목에 포함됩니다.
소득세는 부양가족수와 월급에 따라 다르며
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%를 납부해야 합니다.
2021 연봉 실수령액 확인방법
2021 연봉 실수령액 확인 방법은
임금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됩니다.
네이버 검색창에
연봉계산기를 검색하세요. ^^
자신의 연봉을 기재하시고
부양가족수와 20세 미만의 자녀수를
넣어 주세요.
그리고 계산하기를 클릭하시면
2021 연봉 예상 실수령액과
월 예상 실수령액이 나옵니다.
지금까지 2021 연봉 실수령액에
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.
흔히 이야기하는 세전과 세후
왜 세후에는 금액이 적어지는지
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.
실수령액이 중요하죠!ㅜㅜ
갑자기 슬프네요(^///^)
모두 오늘 하루 즐겁고 행복한 날
되시길 간절히 바랍니다.
그럼 안녕~~^^